올제 TREND 295

연매출 400억 회사를 위기로 몰고 간 SNS 위기대응

 국내 트위터 이용자 수가 580만(2012년 2월 23일 현재 5,857,360명 OikoLab 산출자료) 넘으면서 SNS를 이용하는 기업들이 국내에서도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트위터를 비롯한 SNS를 마케팅의 대상으로만 생각하고 접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SNS가 발전하면 할수록 좋던 싫던 기업의 위기 사항은 꾸준히 발생하게 됩니다. 하지만 발생하는 위기를 어떻게 감지하고 적절하게 대응하는지에 따라 결과는 큰 차이가 나게 됩니다. 출처 : http://www.bluefocusmarketing.com/infographic/Free%20Infographic/Iceberg_Infographic_BlueFocusMktg.pdf 이번 채선당 사건만 보아도 작은 이슈가 얼마나 빠른 ..

[소셜미디어] 개방적 SNS "Facebook" & 비 개방적 SNS "Path"

Facebook, Twitter를 중심으로 시작 된 소셜미디어의 인기가 스마트폰의 등장과 함께 빠른 속도로 성장하여 이제는 SNS계정 하나 없이는 명함도 내밀지 못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전 세계 8억 여명이 사용한다는 Facebook은 SNS 중에서도 가장 'hot'한 아이템으로 자리매김 하였는데요, 이는 최대 5,000명의 친구들이 어디에서 누구와 무엇을 하고 있는지, 그들의 일거수 일투족을 공유할 수 있는 '개방적 SNS - Facebook'의 장점을 즐기는 user들이 많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런데 사실 그 많은 Facebook 친구들 중에서 정말 영양가 있는 소식과 안부를 주고받는 친구는 몇 되지 않습니다. 친구를 했지만 '좋아요' 한 번 눌러주지 않는 '무늬만 친구'도 있을뿐더러, Facebo..

빅데이터와 마케팅

빅데이터와 마케팅   빅데이터란 무엇인가?! 빅데이터란 기존 데이터에 비해 매우 방대해 이전 방법이나 도구로 수집, 저장, 검색, 분석, 시각화 등이 어려운 정형, 반정형, 비정형 세 종류의 데이터 세트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사전적 의미는 그러한데, 사실 구체적이고 정량적인 정의는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산업분야에 따라 데이터 량의 기준은 상대적일 것이며, 앞으로도 그 기준은 계속 달라질 것이구요.  오늘은 이 빅데이터와 관련 기술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세상에는 엄청난 data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고 개인과 기업들은 그 data 속에서 자신이 원하는 data를 얻고자 합니다. 원하는 정보를 얻으려면 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이 있어야 합니다. 그 중 하나가 데이터 마이닝(d..

이케아 한국진출에 따른 버즈랩을 활용한 온라인 정보 현황 분석

이케아 한국진출에 따른 버즈랩을 활용한 온라인 정보 현황 분석 지난해 12월 8일 '가구공룡' 이케아에서 이케아코리아의 법인 설립 등기를 마쳤다는 기사가 발표되었습니다. 이케아는 가구 업체이면서 마케팅을 효과적으로 하고 있는 기업 중 하나인데요. 2011년 칸 광고제에서 올해의 광고주 상을 수상하기도 했었고, 2010년에는 페이스북을 이용한 페이스북 쇼룸 티타늄상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케아 페이스북 쇼룸(IKEA facebook showroom)" 진행 형태 이케아의 페이스북 쇼룸 성공의 가장 큰 전략은 바로 포토태깅 기능이였습니다. 사진에 태그를 거는 기능인 포토태깅 기능으로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는 친구에게 태깅을 하여 쉽게 사진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한 것이었습니다. 이 포토태깅으..

SNS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핀터레스트(pinterest)서비스

SNS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핀터레스트(pinterest)서비스 올제의 재미난 기업&서비스 이야기 첫 연재를 해봅니다. 산업이나 카테고리에 관계없이 재미난 이슈들을 다루는 글들을 적을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오늘 첫 소개해 드릴 서비스는 소셜 업계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핀터레스트(pinterest)를 소개해 보고자 한다. 서비스가 시작된 지 2년 정도임을 감안하였을 때 그 성장 속도는 가히 엄청나다. 많은 이들이 신개념 SNS로 소개하지만 사실 어떤 서비스가 되던 카테고리가 되던 시장이 생성되면 그 서비스나 제품은 더욱 더 특화되어 진화한다. 이는 단순히 기술적인 이슈로 진화할 수도 있지만 편의성에 있어서 간소화 되는 부분도 있다. 주변에 어떠한 것이 있을까? 쉽게 찾아보면 노인전용 ..

TREND/COOLture 2012.02.14

명품 수입청소기 브랜드의 SNS 정보현황 분석

명품 수입청소기 브랜드의 SNS 정보현황 분석 지난 시간에는 BuzzLab을 통해 명품 수입청소기 업체들의 온라인 정보현황을 분석해 보았습니다. D사의 정보량이 가장 많긴 하지만, 전반적으로 흔히들 명품이라고 일컫어지는 수입 청소기 브랜드에 대한 정보량은 미미했습니다. 그렇다면 SNS에서의 명품 수입청소기 브랜드에 대한 여론은 어떻게 형성되어 있을까요? 이번 시간에는 유군이 바통을 이어받아 SNS의 대표 서비스인 Twiiter 상의 정보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전체적으로 3사 모두 twitter 상의 정보량은 극히 미미하였으나, D사의 정보량이 압도적으로 많은것으로 나타납니다. 앞서 분석해보았던 전체 온라인 정보 현황에서는 3사가 유사한 점유율을 보였는데 왜? 유독 트위터에서는 D사의 정보량이 압도적일까요..

"소셜보이스"로 알아보는 소셜분석

"소셜보이스"로 알아보는 소셜분석 1. 소셜분석 시장의 성장 사회 곳곳에서 트위터, 페이스북으로 대표되는 SNS가 이슈가 되면서, 또 각 기업에서 이를 마케팅 도구로 적극 활용하기 시작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가 있다. 바로 SNS 분석이다. 기업들이 진행하는 SNS 마케팅의 효과분석은 물론 SNS 상의 키워드를 모니터링하고, 호불호를 따져서 기업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호도와 여론을 분석해주는 시장이다. 작년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통해 각 소셜분석 업체들이 여론을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내놓았었고 올해는 총선과 대선이 함께 치러지는 만큼 더욱 더 이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각광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면 이들 업체들은 어떠한 형식으로 SNS 분석을 풀어나가고 있을지 "소셜보이스(http:..

스마트폰 2,000만 시대의 중심에서 SNS를 외치다!

스마트폰 2,000만 시대의 중심에서 SNS를 외치다! 최근 방송통신위원회·한국인터넷진흥원이 발간한 '2011 하반기 스마트폰 이용실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스마트폰 이용자의 절반 이상이 스마트폰을 통해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이용한다고 합니다. 게다가 이 중 74.2%는 하루 한 번 이상, 일 평균 46분 이상 스마트폰을 이용해 SNS에 접속한다고 하는데요, 스마트폰 2,000만대 시대에 들어선 요즘, 위 결과에 따르면 하루 1,000만 대 가량의 기기로 SNS 이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나 마찬가지인 만큼 SNS 활용에 있어 스마트폰에 대한 이야기를 빼놓을 수 없겠지요? 먼저 스마트폰으로 SNS를 이용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

BuzzLab을 통한 명품 수입청소기 업체의 온라인 현황 분석

BuzzLab을 통한 명품 수입청소기 업체의 온라인 현황 분석 흔히들 아주 귀하고 값진 물건을 명품이라고 합니다. 무조건 비싸다고 명품이 아니라 비싼 만큼 값어치를 하는 것, 그만큼의 대가를 지불하고서라도 가지고 싶게 만드는 것이 바로 명품일텐데요. 명품가방, 명품시계, 명품화장품에 이어 이제는 청소기까지 명품인 시대가 온 것 같습니다. 아는 사람들은 다 안다는 명품 청소기! 명품수입청소기는 가격이 좀 비싸긴 하지만, 내구성과 흡입력, 디자인 등 오랜 세월 제품의 우수성이 세계적으로 인정 받고 있는 제품들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한 수입 청소기의 경우, 한 번 구입을 하면 20년 동안 사용이 가능하다는 슬로건을 내걸고 있으며, 또 다른 수입청소기는 영국 알러지 협회의 인증을 받아 알러지를 가지고 있는..

[IT용어] CMS란 무엇인가

[IT용어] CMS란 무엇인가 IT용어.. 정말 지나치게 많다. 듣도 보지도 못한 용어들이 넘쳐나고 있고 이쪽 분야에서 10년 넘게 일을 했지만, 누군가 무슨 단어의 약자인지, 정확한 의미가 뭔지를 물어보면 당황하게 되는 용어들이 너무 많다. IT 관련 대화를 할 때 IT 용어만 많이 알아도 절반은 먹고 들어간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그럼 CMS란 무엇일까? 단어를 풀어 쓰면 Contents Management System 즉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란 뜻이다. (콘텐츠, 시스템도 다 영어네...) 다시 단어들을 해석하면, - 콘텐츠(contents) : 인터넷이나 컴퓨터 통신 등을 통하여 제공되는 각종 정보나 그 내용물 - 시스템(system) : 정의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통합 요소들의 집합체 이를..

TREND/IT's 流 2012.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