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분석 10

[소셜분석] 키워드로 보는 MBC 예능 무한도전의 파업

MBC 주말 대표 예능 프로그램인 ‘무한도전’이 파업을 한지 벌써 22주가 흘렸습니다. Buzzlab을 통하여 언론 속의 무한도전을 키워드를 통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언론이 말하는 무한도전 [언론사 컨텐츠 발생 추이 6월 10일 ~ 7월 6일] 1. 무한걸스의 홍보 키워드 ‘무한도전’ (6월 10일 ~ 16일) ‘MBC’, ‘폐지설’, ‘김재철’ 무한도전의 모든 키워드가 무한걸스의 홍보의 수단으로 점령되었습니다.. 이중에 ‘13일’ 키워드는 무한도전 김태호 PD가 트위터에 올린 글로 화제가 되었습니다. “Jai Guru Deva Om! Nothing's Gonna Change My World” (선지자시여 진정한 깨달음을 주소서. 내 세상은 아무 것도 바뀌지 않도록)” 2. 노홍철 트위터, 시민참여..

소셜분석, 정보에서 관점으로

소셜분석 붐의 정점을 찍었던 총선을 기점으로 정보에서 관점으로 소셜분석의 패러다임이 넘어가고 있다. 분석한 데이터의 양과 추이, 성향에 집중했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서울시장선거 때 기막히게 표심을 짚었던 SNS가 수도권의 젊은층의 여론만 대변한다는 것도 깨닳았고, 게다가 Web 2.0때 등장했던 프로슈머들이 만드는 컨텐츠들도 넘쳐난다. 정보의 소비 주체의 입장에서는 큐레이션이라 불리는 정보를 걸러주는 서비스가 필요한 시대가 왔다. 그럼, 소셜분석에선 무엇이 필요할까? 정보 자체에서 정보를 바라보는 관점으로, 정보와 정보 사이의 관계로 생산자와 전파자 사이의 관계로 분석 시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 정보를 분석하는 관점의 변화 정보의 분석이란 항상 상대적이다. 비정형 데이터 분석에서 주로 행하는 호불호..

소셜분석, 4.11 총선에서 빅엿 먹다!

이번 4.11 총선 결과는 우후죽순으로 생겨난 소셜분석 업체들을 비웃기라도 하듯 그들이 분석한 SNS 여론과는 전혀 다른 결과를 보여줬다. 검색기술 하나만 믿고 분석이라는 의미도 모른 체 메타 사이트를 소셜분석이라고 우기며, 불나방처럼 뛰어든 수많은 업체들은 저마다 빅엿을 하나씩 품에 안고 돌아갔다. 사실, 이러한 결과는 4.11 총선 이전부터 어느 정도 예견된 일이었고, 트위터라는 특정 세대가 주로 사용하는 매체 하나의 여론만을 보고 전체를 예측하려고 했던 것 자체가 미션 임파서블이었다. (불가능한 미션을 달성하던 탐쿠르즈도 이번 편을 보니 많이 늙었더라;;;) 소셜분석 업체들도 분석결과를 예측이 아닌 단순한 민심파악이라고 강조하였으나, 이미 시장은 과열되어 있었고, 빅데이터를 부르짖는 수많은 사람들은..

4.11 총선 소셜분석 서비스

제 19대 국회의원 선거가 10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선거열풍을 타고 이름을 알리려는 소위 소셜분석 업체들의 총선 Spot Page들이 하나 둘 런칭되기 시작했다. 오늘은 인터넷 미디어 1,2위를 차지하고 있는 네이버와 다음의 총선 서비스 중 소셜분석 서비스를 비교해 보려 한다. 1. 서비스별 분석 Data 비교 네이버와 다음의 총선 서비스 중 SNS 서비스를 분석해보면, 네이버는 자사의 SNS 서비스인 미투데이를 분석데이터에 포함시켜 함께 분석한 반면, 다음은 오직 트위터의 데이터만 분석 범위에 포함 시켰다. 다음의 SNS서비스인 요즘이 네이버의 미투데이보다 점유율이 낮아 표본 데이터로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였을 수도 있지만, 전체 SNS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점을 보면 ..

소셜분석 어디까지 왔나?

2011년 하반기 Big data가 화두가 되었던 소셜분석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최고조에 이르고 있는데요. 검색업체부터 광고업체까지 너나 없이 소셜분석 시장에 뛰어들고 있는 가운데, 총선이 다가오면서 하나 둘씩 베일을 벗고 있습니다. 하나같이 twitter로 대표되는 SNS를 완벽하게 분석한다고 선전을 하고 있는데, 현재 “소셜분석” 서비스가 얼마나 만족스러운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여론 성향분석 컨텐츠 성향분석은 수집된 컨텐츠들의 내용을 분석하여 긍정/부정/중립 등 성향을 부여하여 도식화한 지표인데, 현재 형성된 여론의 방향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지표 입니다. 비정형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는 지표이기 때문에 분석엔진의 성능(정확도)이 서비스의 질을 좌우하게 되는데, 현재 기..

"정치" 테마로 알아보는 소셜분석

지난번 "소셜보이스"로 알아보는 소셜분석의 포스팅에서 잠시 언급했듯이 작년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기점으로 소셜분석 시장은 급부상했다. 대표적인 서비스의 한 예가 소셜매트릭스에서 선보인 특집! 서울시장 보궐선거. 트위터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각 후보의 점유율과 지역별 관심도 및 주요 키워드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여론 전체적인 흐름을 간단하면서도 알기 쉽게 정리해 놓은 서비스였다. 이러한 예측이 선거 결과에 어느 정도 맞아 떨어짐에 따라 트위터 분석은 일정 부분 성공을 거두었다고 평가되었고 이 때문인지 다가올 총선과 대선에 대비한 소셜분석에 대한 관심은 더욱 더 높아졌다. 주요 언론 매체는 물론 기존 소셜분석 서비스 업체도 선거 시즌에 대비하여 단단히 준비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

명품 수입청소기 브랜드의 SNS 정보현황 분석

명품 수입청소기 브랜드의 SNS 정보현황 분석 지난 시간에는 BuzzLab을 통해 명품 수입청소기 업체들의 온라인 정보현황을 분석해 보았습니다. D사의 정보량이 가장 많긴 하지만, 전반적으로 흔히들 명품이라고 일컫어지는 수입 청소기 브랜드에 대한 정보량은 미미했습니다. 그렇다면 SNS에서의 명품 수입청소기 브랜드에 대한 여론은 어떻게 형성되어 있을까요? 이번 시간에는 유군이 바통을 이어받아 SNS의 대표 서비스인 Twiiter 상의 정보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전체적으로 3사 모두 twitter 상의 정보량은 극히 미미하였으나, D사의 정보량이 압도적으로 많은것으로 나타납니다. 앞서 분석해보았던 전체 온라인 정보 현황에서는 3사가 유사한 점유율을 보였는데 왜? 유독 트위터에서는 D사의 정보량이 압도적일까요..

"소셜보이스"로 알아보는 소셜분석

"소셜보이스"로 알아보는 소셜분석 1. 소셜분석 시장의 성장 사회 곳곳에서 트위터, 페이스북으로 대표되는 SNS가 이슈가 되면서, 또 각 기업에서 이를 마케팅 도구로 적극 활용하기 시작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가 있다. 바로 SNS 분석이다. 기업들이 진행하는 SNS 마케팅의 효과분석은 물론 SNS 상의 키워드를 모니터링하고, 호불호를 따져서 기업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호도와 여론을 분석해주는 시장이다. 작년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통해 각 소셜분석 업체들이 여론을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내놓았었고 올해는 총선과 대선이 함께 치러지는 만큼 더욱 더 이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각광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면 이들 업체들은 어떠한 형식으로 SNS 분석을 풀어나가고 있을지 "소셜보이스(http:..

Social Analytics 온라인 소셜분석-비정형 데이터

비정형 데이터 온라인상의 비정형 데이터가 급증하고 있다.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의 인기와 동시에 BUZZ, 형태가 일정하지 않는 비정형 데이타가 늘어가고 있다. 일반적인 정형 데이터는 분석을 쉽게 하기 위하여 이름, 성별, 나이 등 각각의 데이터의 목적에 맞는 속성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하지만 온라인상에서 발생되는 일반적인 데이터의 대부분은 형식을 가지고 있지 못한 비정형 데이터 이다. 예를 실시간 트위터의 글 대부분은 일상적인 용어로 올라오고 있다. 주어 동사도 불분명한 하나의 완벽한 문장을 갖추고 있지도 않는 글도 상당수를 차지한다. (8월 31일 ‘곽노현’ 키워드로 올라오는 실시간 트윗 문자의 구조뿐만 아니라 줄임 말을 통한 신조어들이 발생된다) 온라인상의 정보 80%이상이 비정형 데이터이고 ..

Social Analytics Buzz lab 소셜 분석을 말하다

정보의 형태가 변화하고 있다 국내 스마트 폰 가입자수가 천오백만 명선을 돌파하고 연내에는 2천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스마트 폰의 대량 보급과 아이패드, 갤럭시탭등 다양한 기기의 출현으로 현대인의 생활방식은 점차 변화하고 있습니다. 삶의 변화! 커뮤니케이션의 진화!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상당수는 손바닥 안의 작은 기기에 몰두하며 페이스 북, 트위터 등의 다양한 SNS매체를 통하여 엄청난 정보를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커피매장에서도 한 줄, 길을 걷다 날씨에 대해서도 한 줄등 상품, 서비스, 환경 등 그 주제와 시간에 관계없이 쉴새 없이 지속적으로 많은 정보를 올리고 있습니다. 이렇게 생산된 정보들은 SNS매체를 통해 확산되고 재생산되고 또다시 생산자가 다시 소비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