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7일 한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에 ‘지하철 막말남’ 이라는 동영상이 공개되어 논란을 빚었습니다. 그 후 ‘지하철 막말남’의 잘못된 신상정보가 공개되고 그로 인해 이번 사건과는 연관이 없는 H대학이 피해를 입게 되었습니다.
이번 사건이 어떠한 경로로 인터넷에 확산이 되었고, 그로 인해 생겨난 부차적인 문제와 피해를 입게 된 H대학이 거짓정보 공개에 어떻게 대응을 하였는지 알아보고, 이번 사례로 온라인상의 위기대응 관리에 대해서 분석 해 보았습니다.
1. ‘지하철 막말남’ 이슈 발생
① 발생일자: 2011년 6월 27일
② 발생경로: '젊은 사람이 나이 많은 노인에게 욕을 하네요'라는 제목의 4분16초짜리 동영
상이 유투브를 통해 공개되었고 인터넷에 확산 되었습니다.
③ 동영상 내용: 수원행 지하철 안에서 한 남성 노인에게 심한 욕설과 막말을 퍼부은 20대 남성의 모습
을 한 네티즌이 이 장면을 고스란히 휴대폰 카메라에 담아 인터넷에 올립니다.
④
이슈 확산 과정: 동영상 공개->‘kmj9488’ 네이버 ID 사용자가 문제의 ‘지하철막말남’ 신원을 OO대학교 기계과 4학년 소속 재학생으로 온라인 게시판 등록게재. 이후 네이버 연관 검색어 및 '지하철 막말남'
컨텐츠에 H대 키워드가 삽입되어 등록 ,확산되었습니다.
2. ‘지하철 막말남’ 이슈 확산
▶BuzzLab을 통해 얻어낸 컨텐츠 확산추이
☞ 온라인 내 ‘H대’ 정보는 6월 26일을 기점으로 급증하여 나타났습니다.
▶BuzzLab을 통해 얻어낸 인기/급증키워드 분석
☞ ‘올제’ 온라인정보분석 솔루션 수집분석결과, 6월 27일부터 ‘H대’ 정보영역내 ‘지하철’, ‘서울’, ‘지하철역’, ‘동영상', '노인' 등의 검색어가 노출 수 상위에 등록되어 나타났습니다.
▶연관 검색어 결과
☞’H대학’ 을 검색했을 때 관계가 없는 ‘지하철 막말남’ 이 연관 검색어에 노출이 되었습니다.
3. ‘지하철 막말남’ 거짓신상 털기 논란
H대 경영대학생의 학적 조회를 통해 공개된 ‘지하철 막말남’ 의 신상정보가 허위 사실로 밝혀집니다.
4. 피해 대학 측 대응
① 공식 트위터 이용
피해를 입은 H대 측에서 경영대학 트위터를 통해 학교 이미지에 악의적인 트윗을 막아달라는 내용으로
RT요청을 했습니다.
▶H대학 공식 트위터
② 인터넷 기사
▶허위사실임을 알리는 인터넷 기사
③ 공식입장 발표
: 잘못된 내용의 최초 유포자를 찾기 위해 “경찰 사이버수사대에 의뢰해 수사를 진행할 것”이라며 “잘못된 내용이 더 이상의 확대 유포되지 않도록 부탁한다”고 당부했습니다.
▶학교측에서 발표한 공식입장 원문
5. 피해 대학 위기대응 관리 결과
① 학교 공식 트위터를 이용해 허위사실임을 밝히고 RT요청
- 확산이 빠른 SNS를 이용하여 부정이슈가 비교적 빨리 정정 되었습니다.
- 팔로잉 수가 600여명으로 꾸준히 관리되고 있고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H대학교 경영대학 트위터를 통해 일반 네티즌들에게 급속히 확산되었습니다.
▶ 허위사실임을 밝히는 트윗을 RT
② 인터넷에서 이슈가 확산 된 만큼 인터넷기사로 허위사실임을 밝히는 기사등록
- 6월28일 10시42분 '온라인 언론사' 허위사실 유포에 대한 기사가 등록되면서, H대와 관련된 네티즌 여론이 감소 하였습니다.
▶ 'H대'와 관련된 네티즌 여론 감소
③ 허위사실이 확인된 후 학교에서 즉각 공식입장 발표
- 사이버수사대에 의뢰해 수사를 진행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밝히면서 이번 이슈에 피해자임을 강조 하였습니다.
6.피해 대학사례로 본 위기 대응관리
- 꾸준히 관리되고 있는 학교 공식 SNS가 있을 경우 허위, 거짓 등의 정보는 정확한 정보로 빠르게 확산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네티즌과 대학과의 커뮤니케이션 창구인 커뮤니티, SNS의 지속적인 활동을 통한 소통이 있으면 위기상황발생시 즉시 대처 및 위기대응관리가 가능합니다.
![]() E-Biz 사업본부 / 마케팅기획팀 이가영대리 @allje_lky |
![]() |
Tel. 02-514-9900 Fax. 02-514-9902 E.mail lky@allj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