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20

대용량 데이터의 사용과 저장을 위한 첫걸음

지금은 정보의 홍수시대라고 말하고 있다. Web 2.0시대의 슬로건인 AAA(Anyone can say Anything about Any topic). "누구든지 어느 주제에 대해 무엇이든 말할 수 있다." 트위터의 사용이 활발해지면서 개인의 생각을 웹상에 표출하는 것이 더욱더 활발해진 것 같다. 이렇게 많은 데이터가 지금 이순간에도 쏟아져 나오고 있을 것이다. 시스코는 ‘글로벌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예측’을 통해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전세계 데이터트래픽이 매달 6.3EB(exabytes)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은 연 평균 92%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에서는 향후 4G LTE(Long Term Evolution)의 가입자가 늘어날수록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

TREND/COOLture 2011.09.16

BuzzLab 분석을 통해 알아본 온라인상 야구장 신설 여론

여러분들은 어떤 스포츠를 즐기시나요? 축구? 농구? 우리 올제 식구들 중에는 야구를 좋아하는 분들이 특히 많은데요, 각자 응원하는 팀이 워낙 다양해서 야구 이야기가 나오기만 하면 저마다 응원하는 팀 자랑에, 뒷담화에... 시장판이 따로 없어진답니다. 가끔은 회사와 가까운 잠실야구장으로 몇몇이 직관을 가기도 하는데요, 참으로 단란 하지만 본부장님과 함께 직관을 가는 날이면... 왠지 우리팀이 지더라도 본부장님 팀이 이겨서 맥주 한잔 얻어먹고자 하는 검은 속마음들이 생긴다죠 :) 야구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우리나라 야구장 시설은 굉장히 열악합니다. 올 시즌만 하더라도 대구구장에서 삼성과 두산이 야간 경기를 하던 중 경기장 전체가 한동안 정전이 되는 바람에 큰 이슈가 되었고, 이로 인해 또 한..

스레드 동기화

동기화를 하는이유? - 멀티 스레드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에서 두 개 이상의 스레드가 동시에 공유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을 막는다. - 스레드간의 실행순서를 정의하고 따르도록 한다. 동기화 개체 - CCriticalSection - CMutex - CEvent - CSemaphore 동기화 액세스 개체 - CSingleLock - CMultiLock CCriticalSection 1. 같은 프로세스에 속한 스레드간의 동기화를 위해 사용한다. 2. 유저 모드에서 동작하므로, 속도가 빠르다. ex) CCriticalSection g_cs; g_cs.Lock(); // Working // g_cs.Unlock(); CMutex 1. 서로 다른 프로세스간의 동기화를 위해 사용(임계영역과 같은 기능을 하지만 속도는 조금..

TREND/COOLture 2011.09.02

Windows 메시지..스레드를 이해하기 위한 첫단계

Windows 메시지 윈도우 메시지는 키보드, 마우스와 같이 윈도우 상의 여러 응용 프로그램들에 의해 공유되는 입력장치로부터 발생하는 키보드 눌림, 마우스 이동과 같은 이벤트를 알리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며 윈도우의 생성/제거, 크기변화, 이동 등에 대한 통지의 용도등 매우 다양하다. 윈도우 메시지는 Win32 API에 정의된 MSG구조체(Structure)로 정의되어 있다. 메시지 펌프 & 윈도우 프로시저 수신된 윈도우 메시지는 메시지 큐에 삽입된다. 메시지 큐에 삽입된 윈도우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메시지 큐에서 꺼내 처리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은 큐에서 꺼낸 해당 메시지를 처리할 윈도우 프로시저를 호출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 과정은 대개 while문을 통해 루프를 돌면서 어플리케이션이 종..

Social Analytics 온라인 소셜분석-비정형 데이터

비정형 데이터 온라인상의 비정형 데이터가 급증하고 있다.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의 인기와 동시에 BUZZ, 형태가 일정하지 않는 비정형 데이타가 늘어가고 있다. 일반적인 정형 데이터는 분석을 쉽게 하기 위하여 이름, 성별, 나이 등 각각의 데이터의 목적에 맞는 속성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하지만 온라인상에서 발생되는 일반적인 데이터의 대부분은 형식을 가지고 있지 못한 비정형 데이터 이다. 예를 실시간 트위터의 글 대부분은 일상적인 용어로 올라오고 있다. 주어 동사도 불분명한 하나의 완벽한 문장을 갖추고 있지도 않는 글도 상당수를 차지한다. (8월 31일 ‘곽노현’ 키워드로 올라오는 실시간 트윗 문자의 구조뿐만 아니라 줄임 말을 통한 신조어들이 발생된다) 온라인상의 정보 80%이상이 비정형 데이터이고 ..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위한 개발자의 관점..

요즘들어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글들이 많이 포스팅되고 있다. 이때 자주 나오는 단어들 중에 가장 기본이 되는 단어가 PaaS와 SaaS가 아닐까 싶다. (출처 : http://ko.wikipedia.org) Saas(Software as a Service)란? 소프트웨어의 기능 중 유저가 필요로 하는 것만을 서비스로 배포해 이용이 가능하도록 한 소프트웨어의 배포형태이다 PaaS(Platform as a Service)란? 서비스로서의 플랫폼이라는 뜻으로, 표준화된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이는 가상화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등을 필요에 따라 제공하며, 모든 개발과 관련된 환경 및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라고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설명해주고 있다. 앞으로 만들어질 솔루션들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어떻게 서비..

당신의 생각까지 읽는다! 차세대 정보서비스 체계

정보검색에서 ‘의견검색’ 시대로.. 과거 정보검색 분석은 정량적인 Data에 의거한 분석으로 분석 대상자들의 의견(의도)들이 누락된 분석결과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다양한 Social Network Platform이 등장하면서 이전까지의 분석결과의 신뢰도가 현저하게 낮아지고 있었고 이런 과정에서 새롭게 대두된 정보분석 기법이 오피니언 마이닝, SNA와 같은 의견, 관계 중심 정보서비스 분석 기법이다. 오피니언 마이닝 : 텍스트를 분석해 특정 키워드간의 연계성을 추출하고 그 연계성에 근거해 정보를 도출하는 검색시스템 시멘틱검색 : 컴퓨터가 상호 연결된 데이터의 의미를 파악하고 분석함으로 중요 정보를 식별, 더 나아가 상황에 맞게 정보를 재조직 함으로 문제 해결을 위한 지식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검색시스템...

Buzzlab episode2, The Begining - 브랜드를 하이재킹하라

브랜드 하이재킹이란 기업이 제품이나 상품 마케팅을 이끌고 통제하는 대신 소비자가 브랜드 개발에 참여하고 주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브랜드는 시장에서 자기 자리를 찾아가는 자생능력이 있기 때문에 기업이 천문학적인 마케팅 비용을 투입한다고 해서 시장이 이를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는것이 사실이죠. 그러나 소비자는 브랜드를 만드는 데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이에 적극적으로 반응한다는 것이 브랜드 하이재킹의 핵심 개념입니다. 금주부터 상품기획팀 팀장님이 주도하신 자기개발의 일환, 그리고 상품기획을 위한 교육의 일환으로 전 팀원이 전투적 태세를 갖추고 각자 자신의 전문 분야를 위한 학습을 시작하였습니다. 가까운 서점인 코엑스의 반디를 직접 탐사하여 분야에 맞는 적절한 서적을 찾는 시간도 갖게 되었지요. 저..

BuzzLab으로 본 뜨거운 감자! 주민투표!

전면 무상급식과 단계별 무상급식안을 놓고 펼쳐지는 서울시 주민투표로 뜨거운 8월 24일. 33.3%의 투표율을 넘기느냐, 마느냐로 여당과 야당이 첨예한 대립을 하고 있고, 서울 시민들에게만 해당하는 주민투표가 미리보는 총선이라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2011년 8월 22일~24일 오후2시 "주민투표" 검색어 추이 지난 22일 오세훈 서울시장이 주민투표의 투표율이 33.3%가 넘지 않을 경우 시장직을 사퇴하겠다는 기자회견 후 투표율과 관련된 Buzz들이 급증하고 있다. [1] 2011년 8월 22일~24일 오후2시 "주민투표" 인기 키워드 '주민투표' 인기키워드에는 쟁점인 "무상급식"을 비롯한 "투표율", "시장직", "참여", "반대", "거부운동", "33.3%" 등의 투표결..

하반기 온라인 뉴미디어 광고시장 동향 및 전망

2011년도는 전 세계 광고 시장은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졌으며, 급속도로 빠른 시장 개편과 확대로 광고 계의 지형 변화가 이루어진 한 해 였지요. 스마트폰을 필두로 한 뉴미디어의 영향력이 확대되기 시작했고 이에 따른 다양한 인터랙티브 광고들이 급부상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에따라 온라인 광고를 원하시는 많은 기업과 마케터가 많아졌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올제가 온라인 광고시장과 잇따른 전망을 짚어드리고자 합니다. 현재 광고시장의 전반적인 트렌드와 온라인 광고의 필요성에 대한 타당한 근거 자료로써, 보다 이론적인 광고집행을 위한 어드바이스. 지금 시작해 봅니다. 2011년, 매체별 광고 시장 동향 주요 매체별 광고 시장 규모 및 전망 아시다시피 현재 신문,잡지 광고비는 매년 2%정도 하락, 인터넷 광고는 전체 ..

카테고리 없음 2011.08.12